언제나 아름다운 마음으로

친절한 도우미가 되겠습니다.

동포들과의 교류협력 및 지원협력사업에 대한

새소식 내용을 알려드립니다.

 

<연합초대석> 공주대 김재현 총장

작성자최고관리자작성일2008-11-02 00:00:00조회611회

1167964bcb99f6add9bb3edab1908060_1519716159_4303.jpg


김재현 총장이 재외동포 행사장마다 찾아다니며 발품을 파는 이유는 공주대를 중심으로 공주 지역을 한민족교육센터의 메카로 만들겠다는 꿈을 이루기 위해서다. 글로벌시대를 맞아 정부가 팔을 걷고 나서야 할 법한 재외동포 교육과 네트워크 구축에 대학총장이 뛰어든 배경이 궁금하다. 때마침 공주대는 개교 60주년을 맞아 30일 글로벌비전선포식을 가짐으로써 김 총장의 프로젝트가 또 다른 계기를 맞았다.

그가 밝힌 한민족교육센터 구상의 배경은 뜻밖으로 소박하다. "직선제 총장선거가 2006년 초에 있었습니다. 선거에 나가기 위해 2-3년 준비하면서 무엇을 해야 할까 준비하는 가운데 재외동포 교육을 활성화하고 교포들과의 교류와 네트워킹을 통해 국가·사회에 이바지하고 대학의 글로벌화도 이룰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공주대는 공주사범대학으로 출발해서 지금까지 가장 많은 중등교사를 배출했지만 더이상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교사양성만 할 게 아니라 새로운 블루오션을 찾아나서야 할 때라는 판단도 김 총장에게 한민족교육센터에 눈을 돌리게 한 요인이 됐다. 또한 공주대가 천안공대와 통합하면서 공과대학이 빠져나가 땅을 사거나 건물을 따로 지을 필요 없이 한민족교육센터를 구축할 캠퍼스 공간이 생겨 유리한 여건이 조성됐다.

김 총장의 얘기는 이어진다. "실제 2년간 해보니까 제 생각이 맞았습니다. 공주대학이 사범대를 모체로 해서 종합대학이 됐고 공주지역은 교육도시입니다. 교육대학도 있고요. 모두가 얘기하는 교육도시일 뿐 아니라 지리적 여건도 좋습니다. 백제 문화권 중심인데다 당진-대전 고속도로가 곧 개통할 예정이어서 인천공항 접근성도 좋습니다. 행정중심복합도시도 가까이 있고요. 도시의 성격이나 위치, 인적 인프라 등을 볼 때 재외동포들이 끊임없이 와서 교육받고 다녀갈 만한 고장입니다."

그동안의 성과를 물어봤다. "총장 취임 초기 한민족교육문화연구원을 만들었습니다. 대학원에 한국어교육원을 만들어 작년에 모집했고 재외동포학 전공도 모집할 계획입니다. 지난 3월에는 호주 국적을 가진 재외동포를 일부러 영어과 전임교수로 채용했어요. 이례적이지만 사업추진을 위한 포석이지요."

김 총장이 더욱 공을 들이는 부분은 재외동포와의 끈끈한 네트워크 구축. 재외동포와 단체를 잇달아 초청해 한민족 교육과 문화에 대한 학술회의와 심포지엄 등의 행사를 개최했다. 단기프로그램으로 공주대를 찾은 재외 유명 정치인 가운데는 김창준 전 미 하원의원, 신호범 전 미 워싱턴주 상원의원, 임용근 미 오리건주 하원의원 등도 포함되어 있다.

이들 재외동포는 한결같이 한민족교육센터 계획을 듣고 관심 차원을 넘어서서 감동까지도 표시했다고 한다. "신호범 전 의원님은 입양인으로 해외에 나가셨지요. 노령에도 한국에 올 때마다 우리 학교에 들르시는데 '한민족 교육에 관한 얘기만 듣고도 가슴이 들뜬다'라고 하세요. 재외동포들이 한민족교육 계획에 대해 감동하는 것은 거꾸로 얘기하면 이런 부분에 그동안 너무 갑갑해하고 필요성을 많이 느꼈다는 뜻이겠지요."

김 총장의 목소리가 다소 커진다. "재외동포분들을 만나보면 이구동성으로 하시는 말씀이 우리 정부가 재외동포 교육에 대해 제대로 해주지 않는다는 겁니다. 교과서 나눠주는 것 말고는 한국의 전통이나 역사, 정신을 배울 수 있는 교재를 찾기 어렵고 자녀를 조국에 보내고 싶은데 믿을 만한 곳이 별로 없다는 거예요. 재외동포들은 자신들의 필요에 맞는 체계적으로 연구된 교재와 프로그램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다고 보는 것 같아요."

김 총장은 교육의 필요성과 관련해 재외동포들에게 들은 여러 가지 사례를 소개했다. 지난 5월 연해주 지역에 사는 고려인 독립투사 후손들을 초청했는데 안중근 의사 조카를 비롯해 여러 할머니가 과거 한국에 살았으나 지금은 우리말을 거의 잊어버린 상태여서 안타까웠다는 것.

"말을 잊어버리니까 역사는커녕 한국사람이라고 하기도 어려워집니다. 정부나 정치권에서 '750만 재외동포도 우리 자산이다'라는 말을 많이 하는데 실제 자산이 되려면 국내외 한민족 모두가 정체성을 공유해야 합니다. 그 지름길은 결국 말과 역사와 전통에 대한 정서가 공유되어야 하구요. 그러려면 교육이 가장 필요한 부분입니다."

한민족교육의 대상은 재외동포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대기업의 외국 현지법인에서 근무하는 현지인들이 수십 명, 수백 명씩 한국에 와서 울산 등지에서 기술연수를 받는데 기술연수만 배울 것이 아니라 한국어와 전통예절 등을 대학에서 배울 수 있다면 좋고 실제로 그러한 요청을 기업 측으로부터 받고 있다는 것. 김 총장은 이어 "지난번 호주에 나가보니까 입양 조건이 좋아서인지 한인 입양아가 6천여 명에 달하는데 부모들은 아이들에게 한민족의 정체성을 가르치기를 원하지만 영어로 된 알기 쉬운 자료가 없다고 아쉬워하더군요."라고 덧붙였다.

사업 전망에 대해 김 총장은 낙관하고 있다. 재외동포들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목소리에도 무게가 실릴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각종 재외동포 행사에 가보면 매년 다릅니다. 모임 규모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 분들이 경제력이 생기니까 사회영향력도 갖게 됩니다. 재외동포들의 목소리를 듣고 학술적인 연구를 통해 체계화한 정책을 만들어 발표하고 정부에 건의하고 하면 그 분들도 믿고 기부할 마음이 생길 것이라고 봅니다. 한민족교육사업을 저희가 다 할 필요는 없지만 연구활동이나 정책개발을 통해 이 사업이 좀 더 가속화하도록 해주는 것은 대학이 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재외동포에 대한 참정권 부여가 헌법재판소의 판결 등으로 실현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것도 동포 교육사업 전망을 한층 밝게 해주고 있다. 김 총장의 임기는 2년이 채 남지 않은 상황이다. 총장이 바뀌어도 사업추진에 문제가 없겠느냐는 질문에 그는 "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누가 총장이 되더라도 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대학사회는 정치권과 달라 전임 총장이 했으니까 절대 안 된다 이런 건 아닙니다. 그러나 만약 사업이 소홀해진다면 나 스스로라도 사단법인을 만들 각오도 하고 있습니다."

김 총장의 최대 현안은 교육부 산하 국립국제교육원에서 맡아왔던 재외동포 교육사업을 수탁하는 것. 새 정부가 국제교육원 기능을 영어교육 활성화 분야에 중점을 두면서 그동안 해오던 재외동포교육 은 외주를 주기로 했다. 공주대도 제안서를 낸 가운데 5개 대학이 경합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곧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지만 김 총장은 설사 탈락하더라도 한민족교육센터 사업은 계속해나간다는 입장이다. 학교는 물론 지역사회의 호응도 만만치 않다. 이완구 충남도지사는 취임 후 첫 공주 방문 때 200억을 투입해 공주대에 한민족교육센터를 짓겠다는 약속을 언론을 통해 공개적으로 해놓은 상태라는 것. 그러나 김 총장의 가장 든든한 우군은 재외동포사회다. "지난 2년간 뛰어다닌 결과 우리가 하려는 일이 재외동포사회에 많이 알려지게 된 것이 최대의 성과입니다." 재외동포를 상대로 한 그의 세일즈맨 활동이 어떤 결실을 볼지 주목된다.